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5월부터 달라지는 고속버스 취소 수수료 노쇼 방지 위한 정책 개편

by 하이루스틱 2025. 5. 6.
반응형

2025년 5월 1일부터 국토교통부는 고속버스 승차권 취소 수수료 정책을 개편하여, '노쇼(No-show)'를 방지하고 좌석 이용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를 시행합니다. 이번 개편은 평일, 주말, 명절 등 요일별로 수수료를 차등 부과하고, 출발 전후 취소 수수료율을 단계적으로 상향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말·명절 고속버스 취소 수수료 10%→15%·20%…"노쇼 방지"

 

당일 예매를 계획하고 느긋하게 온라인 예매 사이트에 접속했다가, 선택할 자리가 없어 당황한 경험을 한 뒤로 미리미리 차표를 끊는경우도 있잖아요 그런데 고속버스를 이용하다 보면 가끔 고개를 갸우뚱할 만한 일을 목격하기도 하잖아요 
분명 만석 예매된 것을 확인했는데 막상 탑승해 보니 빈자리가 꽤 많은 경우가 그런이유 

출발 직전 또는 직후의 잦은 취소로 인해 실제 필요한 승객들이 좌석을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에서 새로운 정책을 내세웠습니다.

🚍 고속버스 승차권 취소 수수료 개편 주요 내용

국토교통부 누리집 바로가기

1. 요일별 수수료 차등 부과

  • 평일(월~목): 기존과 동일하게 **최대 10%**의 취소 수수료 부과
  • 주말(금~일, 공휴일): **15%**로 상향
  • 명절(설·추석): **20%**로 상향

이는 승객 수요가 많은 시기에 무분별한 예매 및 취소를 줄이고, 실제 필요한 승객들이 좌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

2. 출발 전 최대 수수료 부과 시간 확대

  • 기존: 출발 1시간 전부터 최대 수수료 부과
  • 개편 후: 출발 3시간 전부터 최대 수수료 부과

이는 철도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여, 출발 직전의 잦은 취소를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입니다 .

3. 출발 후 취소 수수료 단계적 상향

  • 2025년: **50%**로 상향
  • 2026년: **60%**로 상향
  • 2027년: **70%**로 상향 예정

이는 출발 후에는 좌석 재판매가 불가능한 고속버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편법적인 예매 및 취소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

⚠️ 정책 개편 배경 및 기대 효과

  • 노쇼 방지: 출발 직전 또는 직후의 잦은 취소로 인해 실제 필요한 승객들이 좌석을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 편법 예매 차단: 일부 승객들이 인접한 두 좌석을 예매한 후 출발 직후 한 좌석을 취소하여 두 자리를 이용하는 등의 편법을 방지합니다.
  • 고령자 등 취약계층 보호: 모바일 예매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들이 실시간 취소표 확인이 어려워 발권 기회를 놓치는 문제를 완화합니다.
반응형